반응형
특수문자 읽는법, 특수기호 명칭 이름 완전 가이드
왜 ‘정확한 특수문자 이름’이 중요한가
특수문자는 글쓰기, 프로그래밍, 디자인, 문서 편집, 심지어 전화 키패드까지 생활 전반에 스며 있습니다. 그러나 이름을 혼동해 전달 오류가 생기거나, 문맥에서의 기능을 착각해 버그와 오해가 생기곤 합니다.
예를 들어 \
와 /
를 섞어 쓰면 파일 경로가 깨지고, “큰따옴표”와 ″
(더블 프라임)를 혼동하면 단위 표기가 잘못됩니다.
아래에서는 한국어 통용 명칭과 영어 이름, 올바른 읽는법, 자주 하는 실수를 한 번에 정리합니다. 현업 개발 환경과 콘텐츠 제작 상황에서 바로 읽어줄 수 있도록 ‘어떻게 소리 내어 말할지’까지 함께 적었습니다.
특수기호 명칭 이름 핵심만 먼저 - 바로 써먹는 읽기 요령
&
- 앰퍼샌드(ampersand). “앰퍼샌드”가 표준적인 음역입니다.|
- 파이프(pipe) 또는 버티컬 바(vertical bar). 읽을 때는 “파이프”.~
- 틸드(tilde). 한국어로 “틸드” 혹은 “물결표”.\
- 백슬래시(backslash). 윈도우 경로 구분 기호. “백슬래시”./
- 슬래시(slash) 또는 포워드 슬래시(forward slash). 유닉스·URL 경로 구분.#
- 해시(hash), 우물 정, 음악 표기는 샵(sharp). 전화키패드에서는 파운드(pound) 버튼이라고도 부릅니다.“ ”
- 큰따옴표, 영어로 쿼테이션 마크(quotation marks). 철자는 quotation, 발음은 ‘쿼테이션’에 가깝습니다.‘ ’
- 작은따옴표, 영어로 아포스트로피(apostrophe) 또는 싱글 쿼트(single quote).′
″
- 프라임(prime), 더블 프라임(double prime). 따옴표가 아니라 각도·길이 단위(분, 초)나 인치 표기에 씁니다.`
- 백틱(backtick) 또는 그레이브(grave). 마크다운 코드, 셸 명령에서 자주 사용.
괄호류 특수문자 읽는법과 용례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꺾쇠
()
- 소괄호, 영어로 parentheses. 읽기: “오픈 파렌서시스 - 클로즈 파렌서시스” 또는 “여는 소괄호 - 닫는 소괄호”.{}
- 중괄호, 영어로 braces 또는 curly braces. 읽기: “여는 커리 브레이스 - 닫는 커리 브레이스”.[]
- 대괄호, 영어로 brackets 또는 square brackets. 읽기: “여는 스퀘어 브래킷 - 닫는 스퀘어 브래킷”.<>
- 꺾쇠괄호, 영어로 angle brackets. HTML 태그 읽을 때 “앤글 브래킷”이라 해도 무방합니다.
따옴표와 프라임 구분 팁
- 큰따옴표:
“ ”
- quotation marks, “더블 쿼트”. - 작은따옴표:
‘ ’
- single quotation marks, “싱글 쿼트”. - 프라임:
′
(prime),″
(double prime) - 각도 1분·1초, 길이 인치 표기 등에 사용. 글 따옴표가 아닙니다.
예) 5′ 10″는 키 5피트 10인치, 35° 12′ 08″는 35도 12분 8초.
선과 막대, 구분 기호
슬래시 계열
/
- 슬래시. 경로·분수·날짜 구분. 읽기: “슬래시”.\
- 백슬래시. 이스케이프, 윈도우 경로 구분. 읽기: “백슬래시”.|
- 파이프 또는 버티컬 바. 셸 파이프, 정규식 OR. 읽기: “파이프”._
- 언더스코어(underscore). 읽기: “언더스코어” 또는 “밑줄”.-
- 하이픈(hyphen). 단어 연결·음절 나눔. 수학의 빼기 기호는−
(마이너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시의 종류 요약
-
하이픈 - 가장 짧음. 단어 연결.–
엔대시(en dash) - 범위 10–20처럼.—
엠대시(em dash) - 문장 삽입.
블로그 가이드라인상 하이픈-
만 쓰길 원하시면 그대로 유지하시면 됩니다.
기호, 단위, 문장부호
문장부호
!
- 느낌표, exclamation mark.?
- 물음표, question mark.:
- 콜론(colon) - 설명 앞, 시간 구분.;
- 세미콜론(semicolon) - 문장 연결, JS 등에서 구문 마침.,
- 쉼표(comma)..
- 마침표(period, dot). 파일 확장자 앞의 점은 보통 “닷”.
수학·논리
+
플러스(plus),−
마이너스(minus),=
이퀄(equals).*
애스터리스크(asterisk) - 별표. 곱셈, 와일드카드./
나눗셈(slash),÷
division sign.%
퍼센트(percent).^
캐럿(caret) - 지수, XOR, 정규식 라인 시작 앵커.~
틸드(tilde) - 근사, UNIX 홈 단축, 한국어 관행으로 범위 표기에도 쓰이나 엄밀히는 ‘근사’ 의미입니다.≠
not equal,≤
less than or equal,≥
greater than or equal,±
plus minus.
화폐·단위·저작권
$
달러(dollar sign).₩
원화 기호(won sign).€
유로(euro sign),¥
엔·위안(yen/yuan).©
저작권 기호(copyright sign),®
등록상표(registered),™
트레이드마크(trademark).
네트워크·마크다운·개발에서의 실전 읽기
이메일·URL·쿼리
@
앳(at sign), 한국어 관용은 골뱅이.#
해시(hash). 웹 주소의 프래그먼트(앵커), Git 브랜치·이슈 태그.- URL 쿼리:
?
뒤에키=값
을&
로 연결. 읽기: “물음표, 키 이퀄 값, 앰퍼샌드”.
마크다운
#
제목 표시 - “샵 한 개면 H1, 두 개면 H2” 규칙이 있지만 SEO 상 H1은 한 페이지에 1개 원칙을 권장합니다. 본문에서는 H2부터 시작.*텍스트*
,_텍스트_
- 이탤릭,**텍스트**
- 굵게.`코드`
- 인라인 코드. 코드 블록은 백틱 3개.
셸과 정규식
- 파이프:
|
- 앞 프로그램의 출력을 뒤 프로그램 입력으로 연결. “grep으로 파이프”. - 틸드:
~
- 홈 디렉터리. - 애스터리스크:
*
- 글자 0개 이상과 매칭. - 캐럿
^
와 달러$
- 라인 시작과 끝 앵커. - 소괄호
()
- 캡처 그룹,?:
비캡처,[]
- 문자 클래스,\
- 이스케이프.
프로그래밍 공용 읽기 컨벤션
- 괄호·브레이스는 여닫음을 명확하게: “여는 소괄호 - 닫는 소괄호”, “여는 중괄호 - 닫는 중괄호”.
- 비교 연산:
==
이퀄 이퀄,===
스트릭트 이퀄,!=
낫 이퀄,!==
낫 스트릭트 이퀄. - 논리 연산:
&&
앤드,||
오어,!
낫.
전화·문자 입력에서의 명칭
#
- 파운드(pound) 버튼이라는 표기가 널리 쓰입니다. IVR 안내에서 “press the pound key”로 안내합니다. 한국어로는 “우물 정 버튼”이라고도 표기합니다.*
- star key 또는 asterisk. 콜센터에서 “스타 키”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혼동하기 쉬운 페어, 한 번에 정리
해시 vs 샵 vs 샾
#
를 소셜 미디어에서는 해시(hash) 태그, 개발에서는 해시 기호, 음악에서는 음을 올리는 샵(sharp)이라 읽습니다. 한국어 ‘샾’ 표기는 음악 맥락에서만 권장되고, 텍스트 기호는 ‘해시’가 안전합니다.
큰따옴표 vs 더블 프라임
- 큰따옴표는
“ ”
이고,″
는 더블 프라임입니다. 인치·각도 표기에 쓰이며 모양이 비슷하나 역할이 완전히 다릅니다.
작은따옴표 vs 아포스트로피
- 타이포그래피에서는
’
가 아포스트로피로 소유격·생략을 표시합니다. 키보드의'
(스트레이트 쿼트)를 그대로 쓰면 자동 교정 전까지 모양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백슬래시 vs 슬래시
- 윈도우 경로:
C:\Users\name
, 유닉스·웹 경로:/home/name
. 서로 바꾸면 경로가 깨집니다.
하이픈 vs 마이너스
- 문자열 연결이나 복합어에는
-
하이픈. 수식의 음수·뺄셈은 진짜 마이너스 기호−
를 쓰면 더 정확합니다. 화면 접근성 리더는 두 기호를 다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틸드의 의미
- 한국어 관행에서 범위를
1~10
처럼 쓰지만, 국제 문서에서는 보통1-10
또는1–10
을 권장합니다.~
는 근사치나 홈 디렉터리를 뜻하는 용례가 더 표준적입니다.
개발자 실무용 ‘소리 내어 읽기’ 스니펫
JSON
- “여는 커리 브레이스, 키 쿼츠 네임 쿼츠, 콜론, 값, 콤마, 닫는 커리 브레이스.”
Git 커맨드
git log --oneline | grep "fix"
읽기: “깃 로그 원라인 옵션, 파이프 그렙 큰따옴표 픽스 큰따옴표.”
정규식 예
^\d{4}-\d{2}-\d{2}$
읽기: “캐럿, 역슬래시 디, 중괄호 4, 닫고, 하이픈, 역슬래시 디, 중괄호 2, 두 번, 달러.”
의미: YYYY-MM-DD 형식의 날짜.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팁
-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는 가능한 한 곡선형 스마트 쿼트(“ ”, ‘ ’)로 자동 교정되도록 설정하세요.
- 각도·길이 표기에는 프라임 기호(′ ″)를 사용하면 전문성이 살아납니다.
- 마크다운에서 굵게는
**텍스트**
처럼 별표 두 개를 권장합니다. - 제목의 해시는 마크다운 문법이므로, 본문에서는 ‘해시’라는 단어를 쓰거나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깔끔합니다.
A-Z 퀵 레퍼런스 리스트
!
느낌표 - exclamation mark"
큰따옴표 - quotation marks#
해시, 우물 정, 전화 파운드 버튼 - hash, pound$
달러 기호 - dollar sign%
퍼센트 - percent&
앰퍼샌드 - ampersand'
작은따옴표, 아포스트로피 - apostrophe(
)
소괄호 - parentheses*
애스터리스크, 별표 - asterisk+
플러스 - plus,
쉼표 - comma-
하이픈 - hyphen.
마침표, 점 - period, dot/
슬래시 - slash:
콜론 - colon;
세미콜론 - semicolon<
>
꺾쇠괄호 - angle brackets=
이퀄 - equals?
물음표 - question mark@
골뱅이, 앳 - at sign[
]
대괄호 - square brackets\
백슬래시 - backslash^
캐럿 - caret_
언더스코어 - underscore`
백틱, 그레이브 - backtick, grave{
}
중괄호 - braces, curly braces|
파이프, 버티컬 바 - pipe, vertical bar~
틸드 - tilde©
저작권 표시 - copyright sign®
등록상표 - registered sign™
트레이드마크 - trademark′
프라임 - prime″
더블 프라임 - double prime₩
원화 기호 - won sign
마무리
특수문자는 모양이 비슷해도 쓰임과 읽는법이 다릅니다. 앰퍼샌드(&
), 파이프(|
), 틸드(~
), 백슬래시(\
), 해시(#
)처럼 실무에서 자주 부딪히는 기호는 정확한 음가와 문맥을 익혀 두시면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큰따옴표와 프라임, 슬래시와 백슬래시, 해시와 샵의 구분은 콘텐츠 제작자와 개발자 모두에게 필수 체크포인트입니다. 오늘 포스트를 팀 공용 레퍼런스로 저장해 두시고, 낭독·화상회의·코드 리뷰에서 그대로 읽어보세요. 전달력이 달라집니다.
반응형
'시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계 5015란? 한미 OPLAN 5022, 5027, 5029 (0) | 2025.08.08 |
---|---|
휴대폰 사진 USB로 옮기는 방법 (0) | 2025.08.05 |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의미 12간지 (0) | 2025.08.04 |
검찰 인사 명단 2025 검찰청 고위간부 인사 발령 - 구자현 고검장-박철우 반부패부장 (0) | 2025.07.27 |
윤동주 시모음 (0)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