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의미 12간지

by 코페인 2025. 8. 4.
반응형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의미, 한자 총정리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는 12지지의 순서를 외우기 위한 대표적인 구절로, 동아시아 전통 역법·방위·시간·사주명리에서 폭넓게 쓰입니다.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의미'를 한 번에 이해하려면, 12지지(十二地支)의 체계를 먼저 잡고 들어가야 합니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각 글자는 한자 자체의 상형·의미, 오행·음양 속성, 동물 상징, 계절·월령, 시간대와 방위까지 다양한 정보가 축약되어 있습니다.

12간지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의미

본 글에서는 12지지를 구성하는 각 글자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의미부터 오행·방위·시간·월령 매핑, 그리고 자주 쓰이는 관계 법칙(삼합·방합·육합·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합니다.


12지지 개요 - 체계 잡기

12지지는 아래 12글자의 체계입니다.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전통적으로는 10개의 천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과 결합하여 60갑자(갑자~계해)를 구성하며, 다음 분야에서 표준 참조축으로 씁니다.

  • 시간 - 하루를 12시진(두 시간 단위)으로 구분
  • 달력 - 한 해의 12개월(월령) 매핑
  • 방위 - 원을 12구간으로 등분
  • 사주명리 - 년·월·일·시의 ‘지지’로 성격, 기질, 운세 해석의 좌표 역할
  • 민속 상징 - 십이지 동물과 일대일로 대응

핵심 mnemonics는 계절 블록으로 끊어 외우는 방식입니다.

  • 겨울 - 해(亥)·자(子)·축(丑)
  • 봄 - 인(寅)·묘(卯)·진(辰)
  • 여름 - 사(巳)·오(午)·미(未)
  • 가을 - 신(申)·유(酉)·술(戌)

기본 매핑 한눈에 보기

  • 시간대(시진)
    자: 23-01시, 축: 01-03시, 인: 03-05시, 묘: 05-07시, 진: 07-09시, 사: 09-11시,
    오: 11-13시, 미: 13-15시, 신: 15-17시, 유: 17-19시, 술: 19-21시, 해: 21-23시
  • 월령(음력 기준, 건인법)
    1월-寅, 2월-卯, 3월-辰, 4월-巳, 5월-午, 6월-未, 7월-申, 8월-酉, 9월-戌, 10월-亥, 11월-子, 12월-丑
  • 방위(대략 30도 간격)
    자: 북 0°, 축: 북북동 30°, 인: 북동 60°, 묘: 동 90°, 진: 동남동 120°,
    사: 남동 150°, 오: 남 180°, 미: 남남서 210°, 신: 남서 240°, 유: 서 270°,
    술: 서북서 300°, 해: 북서 330°
  • 십이지 동물
    자-쥐, 축-소, 인-호랑이, 묘-토끼,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
  • 오행·음양(지지의 기성)
    자-수(양), 축-토(음), 인-목(양), 묘-목(음), 진-토(양), 사-화(음),
    오-화(양), 미-토(음), 신-금(양), 유-금(음), 술-토(양), 해-수(음)

각 지지 상세 해설 - 한자, 기호, 상징

子(자)

  • 한자·어원: ‘아이’의 상형에서 출발해 ‘씨앗·시작’의 함의를 가집니다.
  • 동물: 쥐 - 번식력·민첩·시작의 상징
  • 오행·음양: 수(水)·양
  • 시간·월·계절: 23-01시, 11월, 겨울의 본격 시작
  • 방위: 북 0°
  • 장간(지장간): 癸
  • 관계: 삼합-신·자·진, 방합-해·자·축, 육합-축, 충-오
  • 키워드: 시작, 생명력의 잉태, 저장, 지혜

丑(축)

  • 한자·어원: 움크리다·응축의 이미지 - 싹이 땅을 밀어올리기 직전의 응집
  • 동물: 소 - 인내·근면·누적
  • 오행·음양: 토(土)·음
  • 시간·월·계절: 01-03시, 12월, 한기의 응축
  • 방위: 북북동 30°
  • 장간: 己·癸·辛
  • 관계: 삼합-사·유·축, 방합-해·자·축, 육합-자, 충-미
  • 키워드: 축적, 기다림, 기반 다지기

寅(인)

  • 한자·어원: ‘나아가다·펼치다’의 뜻 - 봄기운의 돌진
  • 동물: 호랑이 - 결단·개척·출발의 상징
  • 오행·음양: 목(木)·양
  • 시간·월·계절: 03-05시, 1월(정월), 봄의 개시
  • 방위: 북동 60°
  • 장간: 甲·丙·戊
  • 관계: 삼합-인·오·술, 방합-인·묘·진, 육합-해, 충-신
  • 키워드: 개시, 돌파, 리더십

卯(묘)

  • 한자·어원: 문을 열다의 이미지 - 동틀녘의 개방
  • 동물: 토끼 - 온화·민감·성장
  • 오행·음양: 목(木)·음
  • 시간·월·계절: 05-07시, 2월, 새싹의 촉발
  • 방위: 동 90°
  • 장간: 乙
  • 관계: 삼합-해·묘·미, 방합-인·묘·진, 육합-술, 충-유
  • 키워드: 균형, 조화, 유연 성장

辰(진)

  • 한자·어원: 떨치다·움직이다 - 봄의 성장을 흔들어 확장
  • 동물: 용 - 이상·권위·확장
  • 오행·음양: 토(土)·양
  • 시간·월·계절: 07-09시, 3월, 봄의 성대함
  • 방위: 동남동 120°
  • 장간: 戊·乙·癸
  • 관계: 삼합-신·자·진, 방합-인·묘·진, 육합-유, 충-술
  • 키워드: 전환, 체계화, 포용

巳(사)

  • 한자·어원: 감싸고 감추다 - 열기의 싹이 내부에서 성숙
  • 동물: 뱀 - 지혜·응축된 열·변신
  • 오행·음양: 화(火)·음
  • 시간·월·계절: 09-11시, 4월, 여름 전야의 가열
  • 방위: 남동 150°
  • 장간: 丙·庚·戊
  • 관계: 삼합-사·유·축, 방합-사·오·미, 육합-신, 충-해
  • 키워드: 통찰, 전략, 변환

午(오)

  • 한자·어원: 해가 중천에 든 정오 - 극성의 표상
  • 동물: 말 - 속도·직진성·활력
  • 오행·음양: 화(火)·양
  • 시간·월·계절: 11-13시, 5월, 여름의 극성
  • 방위: 남 180°
  • 장간: 丁·己
  • 관계: 삼합-인·오·술, 방합-사·오·미, 육합-미, 충-자
  • 키워드: 발산, 명료, 실행

未(미)

  • 한자·어원: 아직 미(未) - 한여름의 열기가 성숙으로 넘어가는 경계
  • 동물: 양 - 온순·배려·비옥
  • 오행·음양: 토(土)·음
  • 시간·월·계절: 13-15시, 6월, 열의 수렴과 완충
  • 방위: 남남서 210°
  • 장간: 己·乙·丁
  • 관계: 삼합-해·묘·미, 방합-사·오·미, 육합-오, 충-축
  • 키워드: 완충, 조율, 양육

申(신)

  • 한자·어원: 펼치다·펼쳐 드러내다 - 수확을 향한 정리
  • 동물: 원숭이 - 기민·기술·응용
  • 오행·음양: 금(金)·양
  • 시간·월·계절: 15-17시, 7월, 가을로 기운 전환
  • 방위: 남서 240°
  • 장간: 庚·壬·戊
  • 관계: 삼합-신·자·진, 방합-신·유·술, 육합-사, 충-인
  • 키워드: 기민함, 수확 설계, 응용력

酉(유)

  • 한자·어원: 숙성·거두다 - 낟알이 차는 무르익음
  • 동물: 닭 - 규칙·알림·단정
  • 오행·음양: 금(金)·음
  • 시간·월·계절: 17-19시, 8월, 성숙의 정점
  • 방위: 서 270°
  • 장간: 辛
  • 관계: 삼합-사·유·축, 방합-신·유·술, 육합-진, 충-묘
  • 키워드: 성숙, 규범, 정제

戌(술)

  • 한자·어원: 다하다·거둘 술 - 수확 마감과 저장 준비
  • 동물: 개 - 충성·수호·경계
  • 오행·음양: 토(土)·양
  • 시간·월·계절: 19-21시, 9월, 마감·정리
  • 방위: 서북서 300°
  • 장간: 戊·辛·丁
  • 관계: 삼합-인·오·술, 방합-신·유·술, 육합-묘, 충-진
  • 키워드: 마감, 수호, 규율 확정

亥(해)

  • 한자·어원: 품다·덮다 - 겨울 전야의 포용과 정리
  • 동물: 돼지 - 포용·완충·충만
  • 오행·음양: 수(水)·음
  • 시간·월·계절: 21-23시, 10월, 겨울 문턱
  • 방위: 북서 330°
  • 장간: 壬·甲
  • 관계: 삼합-해·묘·미, 방합-해·자·축, 육합-인, 충-사
  • 키워드: 포용, 재충전, 휴식

관계 법칙 핵심 - 삼합·방합·육합·충

삼합(三合) - 기질의 대연합

  • 해·묘·미 - 목(木) 기질군: 생장·유연·확장
  • 인·오·술 - 화(火) 기질군: 추진·발산·리더십
  • 사·유·축 - 금(金) 기질군: 규범·정제·수렴
  • 신·자·진 - 수(水) 기질군: 지혜·저장·전환

삼합은 ‘기질의 큰 호응’을 뜻합니다. 동일 군이 모이면 특정 오행 성향이 강하게 드러납니다.

방합(方合) - 같은 방위 블록의 결속

  • 해·자·축 - 북방 수기
  • 인·묘·진 - 동방 목기
  • 사·오·미 - 남방 화기
  • 신·유·술 - 서방 금기

방합은 같은 방위권에 속한 연속 세 지지가 결속하는 패턴입니다.

육합(六合) - 1:1 상생의 짝

  • 자-축, 인-해, 묘-술, 진-유, 사-신, 오-미

육합은 보완·협력 관계로 이해하면 실무 해석에서 무리가 적습니다.

충(沖) - 마주 보는 축의 긴장

  • 자-오, 축-미, 인-신, 묘-유, 진-술, 사-해

충은 방향상 정반대 위치로, ‘부딪힘·변동·분리’ 경향을 가리킵니다. 변화를 촉발하지만, 상황에 따라 성장의 계기도 됩니다.


12지지와 시간·월령·방위의 실무 적용 팁

시간 해독법

  • 하루 24시간을 12구간으로 나눈 것이 시진입니다.
    예) 23:40 출생 → 자시, 14:05 출발 → 미시, 06:10 회의 → 묘시
  • ‘경계 시각’은 전통적으로 2시간 단위로 절단하지만, 명리 실무에서는 태양 시간·절기와의 연계를 정교화하기도 합니다.

월령 접근

  • 한 해의 시작을 ‘입춘’(立春) 부근의 寅월로 잡습니다.
    예) 음력 1월의 지지는 寅, 2월은 卯, … 11월은 子, 12월은 丑.
  • 월령은 계절 기운의 뼈대이므로, 사주 해석에서 일간의 생·극·제·화 판단의 기준축이 됩니다.

방위 감각

  • 프로젝트 기획에서 ‘방위’는 은유로 활용 가능합니다. 예컨대 ‘동방(인·묘·진)’은 시작·성장 단계, ‘서방(신·유·술)’은 성숙·정리 단계의 메타포로 쓰기 좋습니다.

한자 자체의 의미 포인트 - 상형과 메타포

  • 子 - 씨앗·아이: 시작의 메타포
  • 丑 - 움켜쥠·응축: 힘을 모으는 준비
  • 寅 - 나아감·권위: 봄기운의 돌진
  • 卯 - 열림·개방: 일출·문개방의 의미
  • 辰 - 진동·확산: 성장의 요동
  • 巳 - 감춤·숙성: 열의 내장
  • 午 - 정중천: 태양의 극점, 발산
  • 未 - 아직·미완: 열의 수렴과 전환
  • 申 - 펼침·진술: 결과로의 정리
  • 酉 - 숙성·거둠: 완숙의 정제
  • 戌 - 마감·수호: 수확 끝맺음
  • 亥 - 포용·축적: 겨울 전야의 충만

한자 자체의 상형·의미는 달력·시간의 ‘감각’을 부여하여 외우기 수월하게 해줍니다.


외우기 전략 - 업무용 암기 루틴

1) 계절 블록으로 끊기

  • 해자축 - 인묘진 - 사오미 - 신유술
    → 계절 방향으로 한 바퀴 도는 상상: 북-동-남-서

2) 동물 스토리텔링

  • 겨울에 돼지(亥)와 쥐(子)가 저장고를 채우고, 소(丑)가 겨울 밭을 다진다.
  • 봄엔 호랑이(寅)가 길을 트고 토끼(卯)가 뛰며 용(辰)이 비를 부른다.
  • 여름엔 뱀(巳)과 말(午)이 열을 올리고 양(未)이 초지를 넓힌다.
  • 가을엔 원숭이(申)가 수확을 빠르게 돕고 닭(酉)이 시간을 알리며 개(戌)가 창고를 지킨다.

3) 방위 나침반 이미지

  • 시계판에 12지지를 얹어 0° 북에 子를 두고 30°씩 회전해 보십시오. 출퇴근길 방향 감각과 접목하면 복습 주기가 짧아집니다.

사주명리 실무적 관찰 포인트

장간(藏干) 감각

  • 지지 속에 숨어 있는 천간(장간)은 ‘지지의 실질적 연료’입니다.
    예) 辰 속의 戊·乙·癸, 丑 속의 己·癸·辛과 같이 복합 연료를 품은 지지는 해석 폭이 넓습니다.

삼합·방합의 운용

  • 같은 회의실에 ‘삼합’ 멤버가 모두 모이면 특정 기질이 지나치게 편향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팀 빌딩에서 성향 균형을 상상 훈련처럼 적용해 보면 사고 실험으로 유용합니다.

충(衝)의 해석

  • 충은 반드시 ‘파국’이 아니라 ‘변화 트리거’로 이해하는 것이 실용적입니다. 자-오의 충이 일정에 변동을 주는 식으로 나타날 때, 오히려 전략적 리셋의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자축인묘…’를 왜 이 순서로 외우나요?

  • 방위 기준의 12구간을 시계방향으로 나누고, 달·시간·계절을 결합한 역사적 합의의 결과입니다. 순환 질서를 잊지 않도록 만든 mnemonics입니다.

Q2. ‘월령’은 음력 달과 정확히 일치하나요?

  • 기본 매핑은 고정이지만, 실제 절기는 24절기(입춘 등)와 맞물립니다. 실무 명리에선 절기 경계(예: 입춘)를 기준으로 월주 전환을 봅니다.

Q3. ‘삼합’과 ‘육합’ 중 무엇이 더 강한가요?

  • 문파마다 다르지만, 보통 삼합은 ‘큰 기질 동맹’, 육합은 ‘1:1 보완’으로 봅니다. 해석 맥락-목적에 따라 우선순위를 다르게 둡니다.

Q4. 12지지와 십이지 동물은 꼭 1:1인가요?

  • 네. 민속적으로 확정된 짝입니다. 다만 해석의 깊이는 문화권·시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마무리 - ‘질서 있는 순환’이라는 프레임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는 단순 암기를 넘어 ‘질서 있는 순환’의 프레임입니다. 시작-응축-발진-개방-확장-숙성-발산-완충-정리-성숙-마감-포용으로 이어지는 12스텝을 시간·계절·방위·상징에 접목한 보편 좌표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자를 단순한 부호가 아니라 ‘현실을 설명하는 맵’으로 바라보면, 일정기획·팀빌딩·습관 설계 같은 현대적 업무에도 적용 가능한 통찰이 됩니다. 한자 의미, 오행·음양, 동물 상징, 시간·월령·방위 매핑을 함께 기억하시면,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는 더 이상 낯선 주문이 아니라 일상의 나침반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