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정보

결제와 결재의 차이

by 코페인 2025. 7. 17.
반응형

결제와 결재의 차이

현장에서 보고서를 작성하거나 온라인 쇼핑을 하다 보면 “어, 이번엔 결제야? 결재야?” 하고 순간적으로 멈칫하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결제와 결재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회계 처리 오류나 승인 누락 같은 문제가 연쇄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두 단어의 개념·어원·실전 활용 팁을 한꺼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결제와 결재의 차이


결제 뜻

‘결제(決濟)’란 무엇인가요?
결제는 금전 거래를 최종적으로 마무리하는 행위입니다. 현금, 신용·체크카드, 간편결제, 가상계좌 등 방식이 무엇이든 돈이 실제로 이동해 재화·서비스 대가를 모두 청산하는 순간을 가리킵니다. 어원으로 살펴보면 결(決) 은 ‘끊다·해결하다’, 제(濟) 는 ‘건너다·지불하다’를 뜻해, ‘금전 문제를 끊고 넘어간다’라는 의미가 집약돼 있습니다.

  • 온라인 쇼핑몰에서 휴대폰으로 3초 만에 결제
  • 편의점 계산대에서 현금을 건네고 영수증 수령
  • 카드 자동이체로 공과금을 납부
  • 해외 직구 시 달러 결제 → 원화 청구

TIP

  1. 해외 결제 전 카드 수수료·환율을 확인해 예산 초과를 줄이세요.
  2. 전자 영수증을 PDF로 저장해 두면 세무 감사 대비가 수월합니다.

결재 뜻

‘결재(決裁)’는 무엇이 다른가요?
결재는 상급자가 문서를 검토·승인해 효력을 부여하는 절차입니다. 결(決) 은 ‘결정하다’, 재(裁) 는 ‘재단하다·판단하다’라는 뜻을 품고 있어, 책임자가 재단하듯 최종 판단을 내린다는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

  • 휴가 신청서: 팀장→실장→본부장 순으로 전자 서명
  • 1억 원 이상 지출 품의: 대표이사 직인 필요
  • 대외 공문: 법무 검토 후 최종 결재
  • 신규 프로젝트 기획안: 임원 라인 통과 후 실행

TIP

  1. 전자결재(그룹웨어)를 활용하면 결재선 설정·이력 추적이 쉽습니다.
  2. 전결(專決) 제도를 활용해 일정 한도 내에서 중간 관리자가 독자 결재하면 업무 속도가 빨라집니다.
  3. 결재권자 부재 시 대결(代決) 규정을 활용해 업무 공백을 줄이세요.

결제란, 결재란

3초 구분법

  1. 지갑·통장·카드가 보이면 결제
  2. 도장·서명·승인 버튼이 보이면 결재
  3. 두 단계 모두 필요하다면 ① 결재 완료 → ② 결제 진행 순으로 기록

현장 교정 사례

  • “출장비 결제 요청 드립니다.” → “출장비 결재 요청 드립니다.”
  • “휴가 신청서 결제 받았습니다.” → “휴가 신청서 결재 받았습니다.”
  • “광고비 30만 원 카드 결재 완료.” → “광고비 30만 원 카드 결제 완료.”
  • “팀장이 회식비를 결재했다.” → 실제로 돈을 냈다면 결제, 승인만 했다면 결재

Q&A 베스트 10

  1. 출장비 품의서를 상사가 승인했습니다. → 결재 완료입니다.
  2. 네이버페이로 전자책을 샀습니다. → 결제 완료입니다.
  3. 부장님이 법인카드로 회식비를 직접 지불했습니다. → 결제했습니다.
  4. 휴가 신청서에 전자 서명이 찍혔습니다. → 결재가 끝났습니다.
  5. 카드 자동이체로 서버 사용료가 빠져나갔습니다. → 비용을 결제했습니다.
  6. 팀장이 전결 한도로 40 만 원 물품을 샀습니다. → 전결 결재로 처리됐습니다.
  7. 지출 증빙이 부족해 서류가 반려됐습니다. → 결재 요건이 미흡했습니다.
  8. 게임 아이템을 구매 후 즉시 취소했습니다. → 기존 결제를 환불 처리했습니다.
  9. 인사 발령 공문을 대표가 승인했습니다. → 결재 완료입니다.
  10. 법인카드 대금을 일괄 송금했습니다. → 카드 대금을 결제했습니다.

빈칸 채우기 퀴즈

  1. 휴가 신청서를 올리고 (결재) 받았습니다.
  2. 편의점에서 삼각김밥을 사고 카드로 (결제)했어요.
  3. 법인카드로 광고비 30만 원을 (결제)했습니다.
  4. 대표님이 회의비 사용 내역서를 직접 (결재)하셨대요.
  5. 오늘 점심값은 제가 (결제)했으니 나중에 보내 주세요.

전결 뜻

전결·대결·전자결재 한눈 정리

  • 전결: 일정 한도 금액·범위를 중간 관리자가 독자 결재
  • 대결: 결재권자 부재 시 위임받은 사람이 대신 결재
  • 전자결재: 그룹웨어·ERP에서 결재선 관리·로그 추적·모바일 알림

서식·시스템 관리 포인트

  1. 그룹웨어 버튼명을 ‘결제(PAY)’와 ‘결재(APPROVE)’로 명확히 구분하세요.
  2. 지출 증빙 파일: 비용_결제_증빙.pdf | 기안 문서: 품의서_결재_양식.docx
  3. 분기별 교육·퀴즈로 직원들의 용어 사용 정확도를 높이십시오.
  4. 전자결재 로그와 결제 영수증을 1:1 매칭해 회계 감사 대비를 철저히 하세요.

맺음말

‘결제’는 돈이 실제로 이동해 거래가 종결되는 과정이며, ‘결재’는 상급자가 문서에 서명·도장을 찍어 효력을 부여하는 승인 절차입니다. “지갑이면 결제, 도장이면 결재”라는 기억법을 활용하시면 보고서·메신저·메일에서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두 용어를 올바르게 구분해 회계 투명성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정확도를 동시에 끌어올려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