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김단비 연봉, 프로필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소속의 포워드 김단비 선수가 여자프로농구(WKBL) 2025~2026 시즌에서도 ‘연봉퀸’ 자리를 지켰습니다. 연봉 총액 4억5천만 원. 단순한 숫자 그 이상의 상징성을 지닌 기록입니다. 4년 연속 연봉 랭킹 1위를 차지했다는 점에서 김단비가 단지 성적만 좋은 선수를 넘어, 리그 전체에서 어떤 존재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김단비 선수의 연봉 구조, 경력, 경기 스타일, 리그에서의 위치, 그리고 향후 전망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김단비 연봉의 구조와 맥락
김단비의 2025~2026 시즌 연봉은 기본급과 인센티브를 포함한 총액 기준으로 4억5천만 원입니다. WKBL은 매년 시즌 개막에 앞서 연봉 계약 내용을 발표하는데, 이는 리그 운영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선수들의 가치를 명확히 드러내기 위한 조치이기도 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 등록 선수는 81명이며, 신인과 아시아쿼터 선수는 이 수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김단비는 2022년 신한은행에서 우리은행으로 이적하면서 FA(자유계약선수) 시장의 최대어로 주목받았습니다. 그리고 이적 첫 해부터 챔피언결정전 진출, 개인 수상 독식, 공격과 수비 모두에서의 압도적인 활약 등으로 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5년 현재도 그는 실력, 상징성, 리더십 모든 면에서 최정상급 선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연봉 순위 비교와 의미
2025~2026 시즌 WKBL에서 공동 2위 연봉을 기록한 선수는 BNK 김소니아와 KB국민은행 박지수입니다. 이들 모두 국가대표 출신이자 각 구단의 핵심 자원입니다. 하지만 연봉 총액에서는 김단비가 근소한 차이로 선두를 지켰습니다. 이는 단순한 실력 외에도, 리그의 팬 흡인력, 미디어 노출 빈도, 팀 내 리더십 등의 요소가 모두 평가되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WKBL은 남자 프로농구와는 달리 구단 간 자원 배분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기에, 한 선수의 상징성은 곧 리그 전체의 안정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김단비는 그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고 있는 대표 사례입니다.
김단비 프로필: 기본 정보
항목 | 내용 |
이름 | 김단비 |
출생 | 1990년 2월 27일 (만 35세) |
출생지 | 인천광역시 |
키 | 180cm |
포지션 | 포워드 (등번호 23번) |
소속팀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학력 | 인천 계산고 → 강동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
데뷔 | 2007년 신한은행 에스버드 입단 |
SNS | 개인 인스타그램 운영 중 |
김단비는 여자농구 리그에서 ‘가장 오랫동안 정상급 폼을 유지하고 있는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무려 15시즌 이상을 리그 최상위권에서 뛴 것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우리은행 이적은 그녀의 커리어에 있어 전환점이 되었고, 구단 역시 김단비의 영입 이후 꾸준한 상위권 성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수상 경력 및 성과 정리
김단비의 수상 경력은 단순히 많다는 것을 넘어서, 매 시즌마다 경기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특별합니다. 최근 5년간의 주요 수상 기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WKBL 6라운드 MVP
- 2024년: WKBL 2, 5라운드 MVP
- 2023년: WKBL 1라운드 MVP
-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 여자농구 동메달
- 2021년: WKBL 블록상, 베스트5
- 2020년: WKBL 베스트5
특히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는 노련한 경기 운영과 수비 리딩으로 대표팀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 시기부터 그녀의 존재감은 단순한 국내 리그를 넘어 아시아 농구 전반에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경기 스타일: 효율과 지능의 조화
김단비의 플레이 스타일은 고전적인 포워드의 틀을 깨는 다재다능함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리바운드와 골밑 득점에 강점을 지닌 전통적 포워드 유형이지만, 외곽슛 성공률도 높고, 공간 판단력이 뛰어나 스크린 활용, 2대2 플레이, 파생 공격 전개까지 가능합니다.
그녀는 게임 전체의 흐름을 읽는 능력이 탁월하여, 단순히 득점원에 그치지 않고 경기의 중심축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20대 시절의 에너지 넘치는 플레이에서, 30대 중반의 지능적인 운영형 선수로의 진화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또한 김단비는 수비에서도 헌신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상대 에이스를 수비하는 데 주저하지 않으며, 한 경기에서 공격과 수비를 모두 책임질 수 있는 몇 안 되는 선수 중 하나입니다.
리더십과 팀 내 영향력
김단비는 단순히 뛰어난 경기력만으로 팀을 이끄는 선수가 아닙니다. 실제로 그녀는 팀 내에서 후배들과의 유대감, 경기 외적인 소통 능력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팬과의 SNS 소통은 물론, 구단 행사 참여도 적극적이며, 이는 우리은행이라는 팀이 가지는 팬 기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감독진은 그녀를 두고 “경기의 흐름을 바꾸는 선수일 뿐 아니라, 벤치 분위기까지 바꾸는 존재”라고 평가합니다. 이는 프로 스포츠에서 보기 드문 완성형 리더십의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향후 전망: 은퇴 이후까지도 이어질 영향력
2025년 기준으로 김단비는 만 35세입니다. 농구 선수로서는 노장에 해당하지만, 여전히 주전으로 뛸 수 있는 경기력과 체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훈련 루틴과 식단 관리, 자기 관리법은 후배 선수들의 좋은 롤모델이 되고 있으며, 코칭 스태프로의 전환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WKBL은 현재 세대교체가 진행 중인 시기이며, 젊은 신인들이 점차 리그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이때 김단비와 같은 베테랑 선수의 존재는 리그 안정성과 흥행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키 역할을 합니다.
결론
김단비는 단순히 연봉 1위 선수가 아닙니다. 그녀는 한 리그의 중심, 팀의 상징, 그리고 후배들에게는 귀감이 되는 존재입니다. 앞으로 몇 시즌 더 뛰더라도, 혹은 코칭 스태프로 전향하더라도, 그녀가 한국 여자농구에 남긴 족적은 오래도록 회자될 것입니다.
'문화. 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정후 연봉(프로필, 고향, 나이. 아버지) (0) | 2025.07.11 |
---|---|
정태춘 프로필: 나이 · 고향 · 박은옥 · 정새난슬 · 앨범 · 도서 · 수상내역 (0) | 2025.06.28 |
영화 신명 후기 (0) | 2025.06.23 |
배우 최웅 프로필, 연예인 최초로 전국 테니스대회 우승 (0) | 2025.06.21 |
김수영 시인 프로필 (0)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