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로또번호 가장 많이 나온 숫자 분석 (601회차 2014.06.07 ~ 1182회차 2025.07.26 기준)
로또번호 가장 많이 나온 숫자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 로또번호 가장 많이 나온 숫자 데이터 출처
- 동행복권 공식 홈페이지 메뉴
당첨결과 > 회차별 당첨번호
에서 제공하는 Excel(확장자 xls, 내부는 HTML 테이블) 파일을 다운로드.
- 동행복권 공식 홈페이지 메뉴
- 표본 범위
- 601회차(2014년 6월 7일)부터 1182회차(2025년 7월 26일)까지 총 582회차, 추첨번호 3 492개(회차당 6개).
- 정제 절차
- 파일 인코딩(EUC-KR) 변환 후 HTML 테이블 파싱.
- 회차·추첨일 메타데이터 분리, 6개 당첨번호만 숫자형으로 추출.
- 각 번호(1-45)의 빈도를 카운트하여 출현 횟수·비율 산출.
- 해석 관점
- 로또 6/45는 이론적으로 각 번호가 동등확률(1/45 ≈ 2.22 %) 이지만, 실제 빈도는 회차 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2-3 % 내외의 표본 오차가 발생함.
- χ² 적합도 검정 결과(평균 77.6회, 표준편차 8.94회)로도 통계적 유의미한 편향은 확인되지 않음.
로또번호 가장 많이 나온 숫자 상위 빈도 TOP 20
로또번호 가장 많이 나온 숫자 빈도가 높다고 앞으로도 더 많이 나온다는 보장은 없지만, 실증적으로 가장 많이 등장한 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괄호 안은 582회 대비 출현률).
- 12 - 93회 (15.98 %)
- 21 - 93회 (15.98 %)
- 33 - 92회 (15.81 %)
- 18 - 90회 (15.46 %)
- 38 - 90회 (15.46 %)
- 6 - 89회 (15.29 %)
- 7 - 89회 (15.29 %)
- 16 - 88회 (15.12 %)
- 13 - 86회 (14.78 %)
- 19 - 86회 (14.78 %)
- 45 - 85회 (14.60 %)
- 3 - 84회 (14.43 %)
- 11 - 84회 (14.43 %)
- 34 - 84회 (14.43 %)
- 39 - 84회 (14.43 %)
- 15 - 81회 (13.92 %)
- 44 - 81회 (13.92 %)
- 24 - 79회 (13.57 %)
- 28 - 79회 (13.57 %)
- 43 - 79회 (13.57 %)
하위 빈도 BOTTOM 20
반대로 가장 적게 등장한 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5 - 61회 (10.48 %)
- 20, 32 - 각 63회 (10.82 %)
- 25 - 64회 (11.00 %)
- 23 - 66회 (11.34 %)
- 9, 22 - 각 67회 (11.51 %)
- 4, 29, 40 - 각 68회 (11.68 %)
- 8 - 69회 (11.86 %)
- 1, 37 - 각 71회 (12.20 %)
- 26 - 72회 (12.37 %)
- 41 - 73회 (12.54 %)
- 2 - 74회 (12.71 %)
- 10, 17, 42 - 각 75회 (12.89 %)
- 35 - 77회 (13.23 %)
보너스 번호는?
- 가장 많이 보너스로 뽑힌 번호: 32번(23회), 4·20번(각 18회), 3·6·24·30번(각 17회).
- 본 숫자 빈도 상위권과는 큰 상관관계가 없으며, 역시 무작위성을 시사.
패턴 해석 및 오해 정리
'많이 나온 번호는 또 나온다' 믿어도 될까?
- 표본 회수는 유의미하지만 예측력은 낮음: 12번이 전체의 15.98 %를 차지했어도, 이 값은 장기적으로 13-14 % 수준까지 회귀할 확률이 큼.
- 대수의 법칙: 회차가 늘수록 각 번호는 1/45(≈2.22 %)에 수렴.
- 갬블러의 오류: 특정 번호가 연속으로 등장했을 때 '이제 안 나올 차례' 혹은 '연속될 것'이라 판단하는 것은 확률적으로 근거 없음.
전략적 접근
- 자동 선택이 가장 합리적: 인간이 고른 날짜·행운 숫자는 패턴이 겹쳐 1등 배당금이 쪼개질 가능성이 높음.
- 저출현 번호 묶음 조합: 중복 당첨을 피하고 싶다면 하위 빈도 번호 위주로 조합해볼 수 있으나, 당첨 확률 자체가 높아지지는 않음.
- 예산 관리
- 손실을 전제로 한 엔터테인먼트 비용으로 책정.
- 월별 한도 설정 후 초과 구입 자제.
책임감 있는 복권 놀이 가이드
- 자제력 점검 : 매주 구매 전 '예산 목록 작성 → 체크 후 결제' 3단계 점검.
- 기부 효과 고려 : 복권 기금(수익금 45 % 내외)이 공익 재원으로 쓰인다는 점도 긍정적이지만, 개인 재무 목표를 침해하지 않을 때 의미가 있음.
- 사행성 중독 예방 : 일시적 큰 당첨 사례는 전체 구입자 대비 0.000003 % 수준임을 항상 상기.
결론
- 2014년 6월 이후 11년간(601-1182회) 최다 출현 숫자는 12·21번, 최저는 5번.
- 그러나 이는 통계적 편향이 아니라 표본 오차로 보는 것이 타당.
- 로또 당첨 전략은 빈도보다는 예산 관리와 조합 다양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현실적.
- 꾸준한 데이터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면 동행복권 엑셀을 정기적으로 내려받아 Python으로 자동 집계하는 RPA 로직을 구축해볼 것을 권장.
행운과 책임, 데이터 기반 선택이 균형을 이룰 때 로또는 재미도 정보도 주는 건강한 취미가 됩니다. 다음 추첨에서도 행운이 함께하길 바랍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인 월급 2025 총정리 (0) | 2025.07.23 |
---|---|
금이빨 파는법, 치금시세, 금니 가격 (0) | 2025.07.19 |
2025년 물가상승률 현황 (0) | 2025.07.14 |
근로기준법 부당 해고, 권고사직 사유 수단 절차 정당성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