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이빨 파는법, 치금시세, 금니 가격

by 코페인 2025. 7. 19.
반응형

금이빨 파는법, 금니 가격, 치금 시세 완전 정리 (2025년 7월 19일 기준)

치아 치료에 쓰였던 금 인레이·크라운·브릿지는 치료가 끝난 뒤에도 높은 금 함유율 덕분에 ‘치과 폐금(치금)’으로 재활용됩니다. 2025년 현재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 수준을 오르내리면서, 서랍 속에 방치된 금니의 매각 가치도 덩달아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보철물 형태·금 함유율·업체별 공제율에 따라 실제 현금화 금액이 크게 달라지므로 정확한 시세 파악과 판매 전략이 필수입니다.

본 글에서는 7월 19일 기준 치금시세를 반영해 금이빨 파는 절차, 가격 산정 공식,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금이빨(치과 금) 종류와 특징

인레이(Inlay)

  • 충치 부위를 파낸 뒤 치아 안쪽을 부분적으로 메우는 보철물
  • 함유율: Au 75-85 %, Ag·Pt 소량
  • 작은 크기지만 비율이 높아 g당 시세가 가장 비싼 편

포세린(Porcelain Fused to Gold)

  • 금 합금 프레임에 도자기(Porcelain)를 소성해 치아 색과 유사하게 마감
  • 함유율: Au 70-80 % (겉면 세라믹은 금 함유 없음)
  • 겉부분을 깨끗이 분리해야 정확한 무게 측정 가능

크라운(Crown)

  • 치아 전체를 덮어 씌우는 금속 캡
  • 세부 등급
    • Crown PT: Pt·Au 합금(금 함유량 60-70 %)
    • Crown ST: Silver Type, Au 50-60 %
    • Crown AT: Alloy Type, Au 40 % 내외
  • 함유율이 낮을수록 매입 단가도 내려감

브릿지(Bridge)

  • 결손 치아 양옆에 지대치를 세우고 금속 브릿지로 연결
  • 구조상 금 함유량 계산이 어렵고 중량이 큰 편이라, 전문 업체 감정이 유리

2025년 7월 19일 기준 치금시세(1g 또는 한 돈 단가)

  • 일반 금 시세(한국표준금거래소)
    • 순금 24K 3.75 g(1돈)
      • 살 때 : 647 000 원
      • 팔 때 : 548 000 원
    • 18K(팔 때) : 402 800 원 / 14K(팔 때) : 312 300 원
    • 백금 Pt : 222 000 원(팔 때) / 은 Ag : 5 470 원(팔 때)
  • 치과 금(치금) 매입 치금시세
    • Porcelain 1 g : 134 190 원
    • Inlay 1 g : 131 280 원
    • Crown PT 1 g : 115 230 원
    • Crown ST 1 g : 102 100 원
    • Crown AT 1 g : 80 220 원
    • 금24K·18K·14K(치과 합금이 아닌 순수 금니) : 일반 금 시세와 동일 단가 적용

※ 시세는 VAT 포함·당일 현금 매입가 기준이며, 국제 금 선물가 변동 및 업체 수수료에 따라 실거래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세 해석 방법과 금니 가격 산정 공식

1. 순금 시세 vs 치금 시세

  • 순금 시세는 ‘AU 99.99 % 골드바’ 기준 가격으로, 변색·합금 비율 0 %를 가정
  • 치금 시세는 금 함유율에 맞춰 **가공·정제비(10-25 % 공제)**가 차감된 매입 단가

2. 금니 가격 계산 공식

$\text{금액(원)} = \text{중량(g)} \times \text{매입 단가(원/g)} \times \frac{\text{함유율(%)}}{100}$

  • 예시: 인레이 5 g을 판매
    • 인레이 단가 131 280 원/g
    • 평균 금 함유율 80 %
    • $5 \times 131;280 \times 0.8 = 525,120 원$
    • 여기에 업체별 공제율(가공비 5-10 %)이 추가 차감될 수 있음

금이빨 파는법 step-by-step

1) 분류·세척

  • 포세린·레진 등 금이 아닌 부분은 가능한 한 제거
  • 서로 다른 합금(PT/ST/AT)을 섞지 말고 개별 보관

2) 중량 측정

  • 0.01 g 단위 전자저울 사용
  • 치과에서 받은 진료기록(크라운 중량표기)이 있으면 함께 제시

3) 매입처 선정

  • 동네 금은방 : 즉시 현금화 가능·단가 낮음
  • 치금 전문 업체(온라인·방문) : 합금별 정밀 분석·단가 높음·택배 보험 필수
  • 금거래소 직거래 : 일정 중량 이상만 취급(≥50 g), 수수료 가장 적음

4) 시세 확인·견적 비교

  • 최소 2-3곳 이상 견적서 확보
  • ‘당일 고시가 적용’ 조건 명시 확인

5) 매도·정산

  • 신분증, 통장사본 지참
  • 60 만원 이상 현금 거래 시 현금영수증/지출증빙 요청 가능

판매처별 장단점

동네 금은방

  • 장점 : 접근성, 즉시 현금화
  • 단점 : 금 함유율 일괄 50-60 %로 저평가, 공제율 15 %↑

치금 전문 업체

  • 장점 : X-ray 형광분석기로 합금 비율 정밀 측정, 시세 차트 실시간 공개
  • 단점 : 택배 발송 시 분실·파손 위험, 감정료(1-3 %) 발생

금거래소 직거래

  • 장점 : 공제율 최저, 정제 완료 후 순금으로 환가 가능
  • 단점 : 최소 중량 제한, 정산까지 3-5일 소요

가격을 높이는 실전 팁

  1. 세라믹·레진 제거 – 불순물 무게를 줄여 순수 금 무게 증가
  2. 합금별 분리 – PT·ST·AT를 섞으면 평균 단가가 낮아짐
  3. 시세 상·하한선 체크 – 국제 금 선물가가 급등하는 오전 10-11시 견적 요청
  4. 공제율 협상 – 온라인 견적서를 지참해 금은방과 교차 비교
  5. 택배 보험 가입 – 물품가 120 %까지 가입해 리스크 관리

세금·신고 체크포인트

  • 국세청 현금영수증: 10만 원 이상 현금 거래 시 의무 발급
  • 양도소득세: 개인 귀금속 매각은 과세 대상 아님(사업자·주얼리 판매업 제외)
  • 부가가치세: 폐금 매입은 영세율(0 %) 적용, 소비자 부담 없음
  • 관세: 해외에 금니를 직접 보내는 경우 금·귀금속 수출 신고 필요

자주 묻는 질문 (FAQ)

  1. 포세린을 떨어내지 못해도 팔 수 있나요?
    • 가능하지만 세라믹 무게만큼 금 함유량이 낮아져 단가가 하락합니다. 현장에서 분리 서비스(kg당 1-2만원)를 제공하는 업체 이용이 좋습니다.
  2. 금 함유율을 직접 확인할 수 있나요?
    • 가정용 검사 키트는 정확도가 낮습니다. 전문 업체 XRF 분석(3-5분)이 신뢰도가 높습니다.
  3. 보험금으로 보철물을 교체했는데, 기존 금니를 팔아도 되나요?
    • 의료보험 청구와 무관하게 재산권이 보호돼 처분 가능합니다.
  4. 브릿지는 무게가 큰데 왜 단가가 낮나요?
    • 골격 연결부 철 함량, 접착 레진 등 불순물이 많아 공제율이 높아집니다.
  5. 귀금속상에 팔 때 신분증이 꼭 필요한가요?
    • 귀금속류 거래기록 준수(특정금융정보법)에 따라 실명 확인이 의무입니다.
  6. 당일 입금이 안 된다고 합니다. 사기 아닌가요?
    • 정제 후 함유율 확정형(3-5일 내 송금) 계약일 수 있으니 계약서·영상촬영으로 증빙을 확보하세요.
  7. 14K 금니도 있나요?
    • 드물지만 소아치과 등에서 사용하며, 일반 14K 금값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8. 부가가치세 공제는 받을 수 없나요?
    • 소비자 입장에선 해당 없으며, 매입업체가 영세율 신고합니다.
  9. 소량(1 g 미만)도 팔 수 있나요?
    • 일부 업체는 최소 중량 5 g부터 받습니다. 소량일수록 단가가 불리해 묶음 판매가 유리합니다.
  10. 국제 금값 급락 시 견적이 취소될 수 있나요?
    • ‘견적 유효시간(보통 60분)’ 이후에는 자동 폐기되므로 서면 계약 후 즉시 발송이 안전합니다.

결론

2025년 7월 19일 현재 순금 1돈 매입가 548 000 원, 인레이 131 280 원/g 수준까지 올라 금니 한 개로도 수십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판매 전에는 1) 종류·함유율 파악 → 2) 실시간 시세 확인 → 3) 공제율 낮은 전문 업체 선택 세 가지만 지켜도 예상보다 10-15 % 높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치아에 묻혀 있던 금’에서 ‘내 손안의 현금’으로 변신시키는 최적의 타이밍, 바로 오늘입니다.


반응형